청년나우 김윤지 기자 | 고용노동부가 지난 3월 발표한 뒤 한 달이 지난 지금까지 논란이 일고 있는 ‘주 69시간 근무제’. 정부는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가 "경직적이고 수주산업 등 일부 업종에는 부적합하다"며 고용 시간 유연화를 위한 정책이라고 밝혔으나 노동계에서는 “과로 사회를 조장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청년나우는 지난 9일 14시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청년나우 사무실에서 제3회<나우;회담>을 개최해 허창영(24) 청년나우 편집장, 김민성(24) 경북대 졸업생, 김주영(19) 경북대 재학생과 함께 ‘주 69시간 근무제’에 대한 20대의 생각을 살펴봤다.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허창영: 현 노동정책이 굉장히 경직적이다는 것은 모두 공감하는 부분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기존의 주 52시간 근무제는 직종 구분 없이 근무 시간을 정해버리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프로젝트 형식으로 진행되는 직종의 경우 주 69시간으로 근무 시간을 늘리는 것이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김주영: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가 경직된 부분이 있다는 것에는 공감한다. 다만 69시간 근무제를 최대로 적용한다
청년나우 김윤지 기자 | 고용노동부가 지난 3월 발표한 뒤 한 달이 지난 지금까지 논란이 일고 있는 ‘주 69시간 근무제’. 정부는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가 "경직적이고 수주산업 등 일부 업종에는 부적합하다"며 고용 시간 유연화를 위한 정책이라고 밝혔으나 노동계에서는 “과로 사회를 조장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청년나우는 지난 9일 14시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청년나우 사무실에서 제3회<나우;회담>을 개최해 허창영(24) 청년나우 편집장, 김민성(24) 경북대 졸업생, 김주영(19) 경북대 재학생과 함께 ‘주 29시간 근무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주 69시간 근무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허창영: 찬성한다. 최대 69시간으로 근무 시간을 보장하는 것이 it 등의 업계가 일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정부가 주 69시간 근무제를 추진한다고 했을 때 큰 반발이 일었고 현재까지도 부정적 여론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문재인 전 정부가 추진한 ‘주 52시간 근무제’, 그리고 정의당이 주장한 ‘주 4일제’ 등이 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천편일률적으로 노동시간을 정한, 복지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