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매일 허창영 편집장 |종이 신문의 쇠퇴기와 맞물려, 학생들이 더 이상 대학 언론의 신문을 찾지 않고 있고 대학 본부에서도 대학 언론을 지원할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른바 '날개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대학 언론의 내부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대학 언론에는 학생 기자들과 함께 교열을 담당하는 간사들과 주간 교수, 교내 언론 담당 주무관이 존재한다. 보통 간사들은 대학 언론 출신 선배들이 많다.
이로 인해 이들이 기사의 방향을 수정한다면 위계질서에 의해 학생 기자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기획의도를 강력히 주장하지 못하고 그들에 따를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대학 언론에서 담당 주무관의 과도한 간섭이 행해지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학 언론 기자 A 씨는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사의 방향과 의도가 주간 교수와 담당 주무관의 마음에 들어야만 기사를 쓸 수 있다"며 "기사 편집 전의 주간회의라면 차라리 괜찮은데 기사 편집 도중에 기사를 신문에 싣지 말자고 말씀하시니까 매우 불쾌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담당 주무관이 기사 편집에 이어 자신 개인의 의견을 기사에 싣기도 했다"며 "'내가 이렇게 생각하면 학생들도 이렇게 생각하지 않겠나'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신 것 같다"고 말했다.
대학 언론 기자 B 씨는 "담당 주무관이 일언반구도 없이 내가 쓴 기사를 신문에서 배제했다"며 "그 사실도 편집국장을 통해서 알게 됐고, 내 기사가 배제된 정확한 사유와 배경을 마감 작업 직전까지 한 마디도 듣지 못했다"고 황당함을 드러냈다.
또 일부 대학 언론 관계자들은 일방적으로 교내의 긍정적인 측면만 보도하려고 하기도 한다. 대학본부나 교수, 총장, 총학생회 등이 잘한 일을 홍보하는 기사를 위주로 신문 면을 구성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대학 언론 기자 C 씨는 "최근 학생사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슈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기사를 써보려 했지만, 긍정적인 방향의 기사를 주로 신문에 실으려고 하는 주간 담당자분들 때문에 제대로 된 논조로 기사를 쓰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기자들이 다루고 싶은 주제가 있어도 그 기사의 방향이나 의도를 완전히 정해버려서 내가 원했던 기사가 나오지 않는다"며 "편집국을 자기 아래로 보는 신문사 관계자들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다"고 토로했다.
이렇듯, 주간 교수와 담당 주무관의 과한 편집권은 '언론 탄압'이라는 단어를 떠오르게 한다.
심지어 2021년에는 서울 소재 모 대학 언론에서는 대학 본부의 언론탄압을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해당 대학교에서 대학 언론의 사설을 사전에 검열하고, 종이 신문 발행을 막았고, 예산을 근거로 추가 발행을 막았으며 부당하게 기자 전원을 해임하는 등 학내 언론을 지속적으로 탄압했다는 것이 시위의 주요 골자다.
해당 대학 언론의 당시 편집국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 대학 언론은 신문사업등록증을 가진 명백한 언론이며, 언론사의 사설을 사전에 검열하고 이를 근거로 종이신문 발행을 제지한 것은 헌법 제21조를 위반한 명백한 언론 탄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학 언론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할 주간 교수와 담당 주무관의 '주된 간섭'은 오히려 대학 언론을 낭떠러지로 몰아넣고 있다.
'펜의 힘'이 없어지고 학생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고 지원까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주간 담당자들의 '주된 간섭'은 더 이상 없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명감과 대학 언론에 대한 애정으로 버티고 있는 기자들의 입에서 한숨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