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원격 연결 솔루션 및 증강 현실과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인 팀뷰어(TeamViewer)가 업무용 협업 플랫폼 분야를 선도하는 슬랙(Slack)에 팀뷰어 기능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슬랙 환경에서 웹 기반의 팀뷰어 원격 액세스 및 증강 현실(AR) 지원 세션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 슬랙은 원격으로 근무하는 직원들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툴과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통합으로 사용자는 슬랙의 앱 디렉터리(app directory)에서 팀뷰어 앱을 다운로드하면 슬랙에 팀뷰어를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원격 제어나 모바일 기기의 증강 현실(AR) 연결을 위한 세션 초대를 슬랙의 다이렉트 메시지나 그룹 채널을 통해 직접 공유할 수 있게 돼 더욱 효율적으로 서로 협업하고 지원할 수 있다. 새롭게 추가된 증강 현실(AR) 지원 기능은 현장 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다. 현장 작업자와 원격으로 연결된 전문가들은 공유된 영상 피드를 통해 증강 현실(AR) 연결로 '내가 보는 것을 똑같이 공유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협업할 수 있다. 오디오 연결 외에도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모빌리티 전문기업 AU테크가 익스트림 스마트모빌리티 브랜드 엑스트랙의 최신 모델 '험머'를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험머는 엑스트랙에서 첫 번째로 선보이는 폴딩 전기자전거로 엑스트랙의 메인 라인업 중 하나를 구성하는 중요 모델이다. 전동킥보드 '썬더 듀얼'과 '크랙', 레트로 팻바이크 '몬스터S', '몬스터B'의 뒤를 이은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는 일상생활은 물론 근거리 배달용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모델로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아왔다. PAS와 스로틀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는 최대 350W 출력을 낼 수 있는 허브 타입의 인 휠 모터가 리어휠에 장착됐으며 XOD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돼 높은 출력과 제동력을 고루 갖추고 있다. 여기에 시마노사의 7단 SIS 인덱스 변속 시스템이 적용돼 완성도를 한 층 높였다. 최대 주행 속도는 25km/h이며 25도의 등판 각도를 보여준다. 험머는 익스트림 스마트모빌리티라는 엑스트랙의 콘셉트에 맞춰 일반 도로는 물론 오프로드에서도 주행할 수 있는 타이어가 장착됐다. 험머에 장착된 켄다 엘 카포 K1221 타이어는 오프로드에 특화된 타이어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기아는 미국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J.D. Power)가 발표한 '2023 잔존가치상(ALG Residual Value Awards)'에서 기아 차종이 5개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최다 차종 수상 브랜드(the most model awards overall)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미국 소비자들이 차량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 중 하나인 제이디파워 잔존가치(Residual Value)는 △상품성 △품질 △브랜드 인지도 △판매전략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차 가격 대비 3년 후 예상되는 중고차 가격으로 산정한다. 기아는 일반 브랜드 17개 부문 중 △텔루라이드가 3열 중형 SUV(Midsize SUVs with 3-Row Seating)에서 최고 잔존가치 모델로 선정되는데 이어 △스포티지 준중형 SUV(Compact SUVs) △쏘울 소형 SUV(Micro SUVs) △K5 중형 승용(Midsize Cars) △프라이드(현지명 : 리오) 소형 승용(Small Cars) 등 모두 5개 부분을 석권하며, 전통 강자인 혼다 및 도요타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가장 많은 수상 부문에 이름을 올리는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금호석유화학(대표이사 백종훈)은 엔지니어링 서비스 전문 기업 Technip Energies(이하 T.EN)와 폐폴리스티렌(폐PS) 열분해 및 재활용스티렌(RSM, Recycled Styrene Monomer)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재활용스티렌(RSM)은 폐폴리스티렌을 열분해해 얻은 친환경 원료로 주로 석유화학 분야 합성고무, 합성수지의 원료로 재활용된다. 지난해 8월 RSM 사업 추진 발표 후 체결한 첫 MOU인 만큼 금호석유화학은 향후 폐폴리스티렌(폐PS) 열분해 기술 도입과 공장 건설 등 RSM 사업에 본격적인 드라이브를 걸 예정이다. RSM 제품 상업화는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목표다. T.EN은 폐폴리스티렌(폐PS) 열분해 원천 기술을 가진 Agilyx의 기술 판권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금호석유화학에 라이선스 이전을 포함한 제반 업무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금호석유화학은 RSM을 자사 제품 SSBR에 적용한 'Eco-SSBR' 사업화도 준비 중이다. 금호석유화학의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은 타이어의 내마모성과 연비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동원산업(006040)이 주식 액면분할 진행을 위해 11월 23일부터 3일간 거래를 정지한다. 분할된 동원산업 주식은 11월 25일 효력 발생을 거쳐 28일부터 거래가 재개된다. 앞서 동원산업은 동원엔터프라이즈를 흡수합병해 통합 지주사로 올라서는 과정에서 5분의 1 수준의 액면분할을 동시에 추진해왔다. 이는 주당 단가를 낮추고 유통 주식 수를 늘려 거래를 활성화함으로써 기업 및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기존 액면가 5000원이 1000원으로 낮아지면서 총발행주식은 999만6533주에서 4998만2665주로 5배 늘어난다. 동원산업은 통합 지주사 체제를 출범하면서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액면분할을 함께 추진해왔다며, 앞으로 시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동원산업의 기업가치가 한층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신한카드(사장 임영진)는 산림청(청장 남성현)과 함께 기후 위기 공동 대응과 친환경 경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양 기관은 남성현 산림청장과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남산 야외식물원에서 이날 오후 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신한카드와 산림청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기후 변화, 재해로 인한 산림 및 생태계 훼손에 대한 복원과 보호 △산림 내 생물 다양성 유지와 증진 △조림을 통한 탄소 흡수 증진 등의 사업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협력 사업의 성공을 위해 △양 기관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산림 관련 전문 기술을 보유한 기관들의 공동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신한카드는 국내 최고 수준의 빅데이터 능력을 활용해 참여 기관들의 능력 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신한카드가 자체 개발한 소비 분야 탄소 배출 지수인 '그린인덱스'와 산림청 데이터를 연계하는 등 산림 생태계 보전에 힘을 보태는 방안을 연구한다는 계획이다. 신한카드는 향후 산림청과의 업무협약 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친환경 소재 플레이트에 멸종 위기 식물을 프린팅한 카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지식재산권(IP) 콘텐츠 스튜디오 이오엔터테인먼트(이오콘텐츠그룹, 대표 오은영)가 11월 30일까지 메타버스 플랫폼 '젭(ZEP)'을 통해 신진 창작자 7인의 영화,드라마 스토리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고 이오엔터테인먼트가 수행기관으로 참여하는 '2022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 지원사업' 피칭 행사의 하나다. 특히 '새로운 스토리를 새로운 형식으로 관계자들에게 알리겠다'는 취지 아래 기존 콘텐츠 스토리 피칭 행사의 전형적인 틀에서 탈피하고 메타버스란 새로운 미디어를 접목시킨 것이 특징이다. 2022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 지원사업은 신진 창작자 육성 프로그램 '콘텐츠 창의인재 동반사업' 결과물 2808개 중 총 10편을 선정해 드라마, 영화, 웹툰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2년부터 주최하는 가운데 이오엔터테인먼트가 방송,영상 사업화에 최적화된 프로젝트를 완성도, 시장성, 현실성에 대한 심사 기준을 바탕으로 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이오엔터테인먼트는 '2022 창의인재 ABCD 사업화 프로그램'이란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LG화학은 지난 22일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Clarksville)에서 테네시주와 양극재 공장 건설 MOU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빌 리(Bill Lee) 테네시 주지사, 스튜어트 맥홀터(Stuart McWhorter) 테네시주 경제개발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LG화학은 테네시주 클락스빌 170만여㎡ 부지에 30억달러 이상을 단독 투자해 공장을 짓고 연간 12만 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연간 고성능 순수 전기차(EV, 500km 주행 가능) 약 120만 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수준으로, 미국 내 최대 규모다. 테네시 양극재 공장은 내년 1분기에 착공해 2025년 말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이후 생산라인을 늘려나가 2027년까지 연산 12만 톤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LG화학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을 통해 미국 IRA 등 글로벌 전지 소재 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IRA가 발효되면 LG화학은 미국 정부로부터 세제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LG화학은 글로벌 고객사들이 IRA의 전기차 보조금 기준을 충족할 수 있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지난해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이 배출한 온실가스양이 과거 평균치보다 30%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이하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대상 777개 기관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375만톤CO2eq으로, 기준배출량 539만톤CO2eq 대비 164만 톤CO2eq 줄여 30.4%를 감축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준배출량은 기관별 2007~2009년 평균 배출량으로 정하며 시설의 신설,증설,폐쇄 등을 반영해 매년 조정한다. 공공부문 목표관리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26조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 등 4개 부처는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7개 유형 777개 기관에 대해 해마다 기준배출량 대비 연차별 감축목표에 대한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있다. 기준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많이 줄인 기관 유형은 '지방공사,공단'으로 감축률이 37.1%였다. 이어 지자체(35.7%), 국,공립대학(30.5%), 공공기관(29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글로벌 게이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레이저(RAZER)가 사용자에게 맞게 측면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마우스 'Razer Naga V2 Pro'를 출시했다. 기존 Razer Naga 시리즈의 폼팩터를 그대로 계승한 Naga V2 Pro는 3가지 측면 플레이트를 통해 사용자 개인 또는 게임 장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새롭게 탑재된 HyperScroll Pro휠, 세대 Razer 광학 마우스 스위치, Razer Focus Pro 30K 광학 센서, Razer Mouse Dock Pro 및 무선 충전 Puck 등 Razer의 최신 기술을 모두 집약했다. 새롭게 탑재된 Razer HyperScroll Pro휠은 감도, 저항감 단계를 조절할 수 있어 개인 사용 습관에 맞는 정확한 휠 컨트롤이 가능하다. 스크롤 저항은 0부터 100단계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스크롤 휠이 완전히 회전하는데 필요한 단계 수 역시 8에서 96까지 설정할 수 있다. 휠을 돌리는 데 필요한 힘인 포스 커브 역시 개별 조정이 가능해 휠 컨트롤 시 더 정교한 피드백을 느낄 수 있다. 교체 가능한 3가지 측면 플레이트를 지원하는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유통업 입점업체들의 현금확보 지원을 위한 '유통망 상생결제'가 공영홈쇼핑에 처음으로 도입된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22일 공영홈쇼핑은 서울 상암동 사옥에서 유통업계 최초로 유통망 상생결제 제도를 도입하는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에 따라 공영홈쇼핑은 연간 7200억원 규모의 위탁 판매대금을 상생결제로 지급해 입점업체가 정산일 이전에 미리 현금확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로써 제조업 중심으로 운영되던 상생결제의 혜택이 유통업 분야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유통망 상생결제'는 유통업 입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판매대금을 받기 전에도 현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가 상생결제의 지급방식을 개선한 대금지급 수단이다. 그동안 상생결제는 제조업 중심으로 활용되며 그 규모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상생결제 도입 첫해인 2015년부터 올해 10월 말까지 누적 803조 6415억원이 대기업 하위 협력사에 지급됐다. 특히 2018년부터 최근 4년은 연속해서 연간 지급실적이 100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이는 대기업에 납품하는 하위 협력기업들에게 대기업의 신용을 제공해 하위 협력사가 필요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해양수산부는 지난 6일부터 18일까지 13일간 개최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7)에 참석, 국제녹색성장기구(GGGI)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의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녹색해운 분야에서 '2030 무탄소 선박 시범항로 구축'을 공식화하고 미국과 함께 녹색해운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COP27에 참석한 나경원 기후환경대사는 지난 7일 COP27 정상급 이벤트행사에서 미국, 노르웨이 등 14개 국가와 녹색해운목표 선언에 함께했다. 녹색해운목표는 향후 10년 이내 ▲무탄소 연료 생산 및 벙커링 시설 등 인프라 구축 ▲저,무탄소 선박 실증 및 도입 ▲특정 항만 간 무탄소 선박을 투입하는 녹색해운항로 구축 등에 대한 협력을 골자로 한다. 나 대사는 또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와 함께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공식 발표했다. 녹색해운항로는 한국 부산항과 미국 서부 시애틀,타코마항을 연결하는 항로에 무탄소 선박을 투입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일 열린 토론회에서는 송명달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이 존케리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극심해지는 물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논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 분야 행사가 열린다. 환경부는 오는 23일부터 4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2(이하 국제물주간)'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제물주간은 우리나라의 물 분야에 대한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고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부터 해마다 여는 국내 최대 규모 물 분야 행사다.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열린다. 올해 행사에는 세계물위원회(회장 로익 포숑)와 글로벌워터파트너십(의장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 및 지자체, 국제기구, 학계 등 물 분야 고위급 인사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국제물주간은 대주제인 '인간과 자연을 위한 지속가능한 물 관리'와 소주제인 '기후위기에 강한 물 환경 조성'을 화두로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극심해지는 물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 기술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워터리더스라운드테이블에서는 세계 물분야 고위급 참석자들이 모여 지속가능하고 기후위기에 강한 물 관리에 관한 정책과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실천 의지를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정부가 주택건설산업이 당면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서 모듈러주택을 본격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에 오는 23일 모듈러주택 산업의 육성,발전을 위해 산,학,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이하 '협의체')'가 출범한다. 국토교통부는 민간 참여를 바탕으로 한 이번 협의체의 출범은 국내 모듈러 관련 기업이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는데 중요한 구심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모듈러주택은 기존 현장 중심의 시공에서 탈피해 주택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 및 부품의 70~80% 이상을 표준화,규격화된 모듈 유닛으로 공장에서 미리 생산해 현장으로 운반 후 조립,설치하는 주택이다. 대표적인 스마트건설 기술이자 주택건설 산업의 혁신 아이콘인 모듈러주택에 대한 관심이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맞물려 크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듈러주택의 혁신적인 주택생산 방식은 공기 단축, 건축물 폐기물 감소, 에너지 사용 및 탄소배출 감소, 소음,진동,분진 등 환경문제 해결과 품질 향상 등 많은 장점이 있다. 건설 기능인력 고령화 및 숙련공 부족 등 주택건설 산업이 당면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도 자리 잡을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불공정무역 행위 과징금의 분할납부 신청 기준이 기존 3억원에서 3000만원으로 완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불공정무역행위 조사 및 산업피해구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그간 분할 납부 신청은 과징금이 3억원 이상이어야 가능했으나 이를 3000만원 이상으로 낮춰 과징금을 일시에 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불공정무역행위 과징금 분할납부를 이용하면 납부 기한으로부터 4개월씩 3회에 걸쳐 과징금을 나눠 낼 수 있다. 아울러 지식재산권 침해행위는 통상 불공정무역행위 조사가 개시되기 직전에 활발함을 감안해 조사가 개시된 연도에 발생한 위반행위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조사개시 당해연도에 발생한 위반행위가 과징금 산정 때 제외되었으나, 이를 포함함으로써 현실에 부합토록 개선했다. 또 내달 1일 발효되는 한,이스라엘 및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FTA)에 맞춰 각 FTA에서 합의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관련 세부 합의 사항도 이번 개정안에 반영됐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